본문 바로가기
Financial Market/Weekly Market Report

(Apr-2W) Weekly Market Report

by LA몽상가 2020. 4. 14.

평안하고 건강 하신지요?

요즘은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건강인사로 시작하는 것이 일상이 된 것 같습니다.

 

4월 두번째 주 Weekly Market Report 입니다.

 

 

1.

트럼프 대통령이 경제활동 재개를 위한 실무그룹을 14발표하겠다고 합니다.

의료계 및 재계에서 명망이 높은 인사가 참여할 예정이며, 초당적인 인사가 참여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다만 사회적 거리두기는 당초 계획했던 보다 늦춰질 가능성이 크며,

인도와 러시아 기타 개발도상국들은 상황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시점이라는 점, WHO세계 유수의 관련 전문가들은 정체기 이후 2유행 가능성까지 언급하고 있어,

앞으로 갈길이 멀다는 생각이 듭니다.

 

 

2.

중국 상무부, 코로나19에 따른 해외 수출 감소로 수출 상품의 국내 판매 장려 하고 있으며,

수출업체 지원을 위해 온라인 상품 전시회 개최, 공급망 안정을 위한 무역상대국과의 공조 등을 시행할 것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그만큼 글로벌 수요감소가 널리 퍼지고 있으며, 같은 움추린 수요는 다시 공급감소와 고용불안, 다시 소비위축 이라는 악순환을 가져올 있습니다.

정부의 재정정책 부분적인 경제해제, 나아가 새로운 소비형태의 개발 등이 필수적인 이유입니다.

 

 

3.

미국 실물경제협회(NABE)미국의 실업률은 2021까지 높은 수준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하였습니다.

결제활동 중지로 450만건의 일자리가 소멸될 수 있으며, 2021년말까지 재창출되는 고용이 200만건을 하회할 것으로 예상하는 등, 향후 실업률은 21개월간 평균 6%를 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과거 경제 데이터를 보면, 경기침체시 마다 평균적인 경제침체 기간이 평균 15개월이라고 하는데, 치료제나 백신개발의 금년내에 개발되어 시판되기에는 시간이 부족함을 고려할때,

같은 평균 침체기간이 최소한 향후 1년이상 지속될 가능성이 같습니다.

 

 

4.

잘 아시겠지만, 지난 주 연준 은 기존의 투자등급이 회사채 매입에 이어, 이번 사태로 투자 부적격 등급으로 강등된 회사의 채권을 직접 매입하겠다고 발표하였으며,

코로나 사태 수습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정부의 채권 또한 매입 하는 등, 있는 모든 조치를 선제적으로 이어나갈 것이라고 발표하였습니다.

시장 편에서는 의회의 법안 수정을 통해, 연준이 미국의 주식을 직접 매입할 있는 준비를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는데, 과연 이렇게 까지 해야하는 이유는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기업의 향후 예상이익의 일정수준의 PER로 그 가격이 결정되어 거래되는 것이 주식시장이며,

무엇보다 실물경제가 살아나지 않은 상황에서 무제한으로 돈을 풀어 인위적으로 경제지표를 지탱하는 것이 과연 맞는가에 대한 의문 또한 있습니다.

바이러스라는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 상황에 몰려 어쩔 없이 어려워진 기업이나 관련 피고용인들을 구제하는것은 당연하나, 이상으로 기업들의 개별주가까지 중앙은행에서 개입해야 하는 이유를 쉽게 납득하기 힘듭니다.

 

 

5.

유가.

지난 12일 OPEC+ 의 긴급회의에서 일일 970배럴 감산합의를 이룬 가운데,

4/14미국 텍사스 철도위원회 회의에서의 텍사스 차원의 감산이 어느정도 이루어질지가 관건입니다.

감산합의라는 전세계의 국제공조가 이루어지고 있는것은 긍정적이지만, 같은 감산으로 인한 공급감소가 수요감소라는 커다란 가격하락 요인을 얼마나 상쇄할 있을지 그게 걱정입니다.

 

더불어,미국과 중동의 산유국 등의 공조가 여러가지 사정으로 지속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의견 또한 무시할 수 없습니다. (아래 Bloomberg 기사 참고)

https://www.bloombergquint.com/opinion/oil-price-trump-s-saudi-russia-cease-fire-won-t-last-long

 

 

6.

다음의 주요 경제/금융 매체의 분석기사 입니다.

 

- 유럽의 다음위기가 이탈리아의 채무불이행으로 재점화 될 수 있다고 합니다. (Financial Times)

 https://www.ft.com/content/ddb02110-7b24-11ea-af44-daa3def9ae03

 

- 코로나 사태 이후, 중장기적으로 더 큰 정부와 높은 세금부과가 불가피 (WSJ)

https://www.wsj.com/articles/longer-term-prospects-of-coronavirus-response-bigger-state-higher-taxes-11586696401

à 따라서, 정부 부채의 증가 (채권발행 증가)로 향후 수년간은 저금리가 불가피 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임.

 

- 최근 저점대비 상당부분 반등한 주식시장이 지속가능할 것인지는 1분기 실적발표가 그 방향이 될것이라는 기사 (WSJ)

https://www.wsj.com/articles/looming-earnings-season-offers-next-test-for-rebounding-stock-market-11586683802

à 기업실적악화의 불가피함과 향후 최소 1년이상의 실적악화 지속을 감안할때, 이번 반등이 베어마켓에서 흔히 있는 데드켓 바운스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됩니다.

 

 

 

주요 경제지표는 아래 표를 참고하시고,

 

금주도 승리하시는 되시길 바랍니다.

 

Stay Safe.

 

고맙습니다.

 

 

 

【주요 Market & Financial Data

통화(Currency) 미국 달러화대비 통화가치 등락기준 (+ 절상, - 절하)

 

 

자료출처 : Bloomberg, Bond Index

 

 

 

'Financial Market > Weekly Market Repo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y-2W) Weekly Market Report  (0) 2020.05.12
(May 1W) Weekly Market Report  (0) 2020.05.05
(Apr-4W) Weekly Market Report  (0) 2020.04.27
(Apr-3W) Weekly Market Report  (0) 2020.04.21